중정, 건물 안이나 안채와 바깥채 사이의 뜰
중정(中庭, Courtyard)은 건물의 내부에 위치한 개방된 공간을 의미하며, 주택, 상업 공간, 공공 건물 등에서 자연 채광과 환기를 위해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사방이 벽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경우에 따라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설계되기도 한다.
주택에서는 흔히 ㅁ자 구조나, ㄷ자 구조로 가운데에 정원을 배치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중정은 장점도 단점이 명확히 있는 인테리어로,
중정을 설계할 때에는 단점을 감안할 만큼 꼭 필요한 공간인지 점검하여야 한다.
중점의 장점,
1. 채광과 환기 개선
- 실내 깊숙한 공간에 중정을 설치하게 되면 자연스레 자연광이 들어와 전반적으로 밝아지고 쾌적하다.
- 창문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환기 문제를 자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정원에서 바깥공기를 즐길 수도 있고,
2. 프라이버시 보호
-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마당은 모두에게 공개된 공간인 만큼 프라이버시 차단이 불가하지만, 중정은 실외 공간이면서도 외부의 시선을 차단할 수 있다.
- 잠옷 차림으로 정원에 나와 밤하늘을 구경할 수 있는 것도 매력적인 점이다.
3. 심미적 가치(예쁘다)
- 자연 요소를 활용해 감각적인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며, 나무를 통해 사계절을 느낄 수 있다.
중정의 단점,
1. 시공 비용 증가
- 가장 중요한 요소 비싸다. 당연함. 일반적인 건물보다 구조가 복잡하고, 벽이 늘어날수록 자재값이 더 들기에 건축 비용이 추가될 수 있다.
- 방수, 배수, 단열 등 추가적인 설계와 공사가 필요하다.
2. 유지 관리의 어려움
- 정원을 조성할 경우, 식물 관리가 필요하고 벌레는 덤이다. 낙엽, 먼지 등이 은근히 치우기 귀찮다.
- 배수 시스템이 적절하지 않으면 물이 고여 습기가 차거나 곰팡이가 생길 위험이 있다. (배수 공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우기에 물이 넘치는 경우도 있다고)
3. 공간 활용 문제
- 땅이 좁으면 실내 면적도 좁은데, 중정까지 더해져 공간 활용도가 낮아진다. 넓은 땅에서 해야한다.
- 설계에 따라 동선이 길어지거나(ㅁ자 형태) 활용이 어려운 공간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중정 시공 시 고려할 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위치 선정이다. 햇빛이 잘 드는 방향 고려(남향이 가장 적절)하고, 주거 공간과의 연결성을 고민해 배치한다. 다음으로는 배수 시스템. 우수(雨水) 배출 경로 확보 필수적이다. 지하 공간이 있다면 방수 공사를 철저히 진행해야 한다. 재료는 내구성이 좋은 바닥재 및 마감재 사용(방수·방습 기능 필수)하고, 관리가 쉬운 식물 및 조경 요소 선정해야 한다.
활용 목적을 명확히 해야한다. 모든 중정의 재료가 다 똑같지 않고, 정원, 연못, 휴식 공간 등 구체적인 용도를 정한 후 디자인을 계획해야 한다. 단순한 장식용인지 실사용 공간인지에 따라 가구 배치나 바닥 재질이 달라질 수 있다.
<중정의 형태에 따른 시공방식>
개방형 중정
- 하늘이 완전히 열린 형태로 설계하여 자연광과 환기를 극대화
- 비나 먼지가 직접적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방수 및 배수 설계가 중요
반개방형 중정
- 부분적으로 지붕이나 차양을 설치해 비바람을 일정 부분 차단.
- 천창(스카이라이트) 등을 활용해 실내에서도 개방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 가능.
완전 밀폐형 중정
- 투명한 유리 지붕 등을 덮어 실내 공간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
- 자연 채광을 확보하면서도 외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
건축가도 설계사도 아닌 이들이 중정의 시공 및 건축 방식을 알아야 무엇에 쓰겠냐만, 세상이 흉흉한 만큼 간단한 지식 정도는 알아둬서 나쁠 것도 없다. 중정을 시공할 예정이라면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지 단어라도 익혀두자.
중정은 실내와 실외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공간이므로, 디자인과 시공 방식에 따라 다양한 건축 기법이 사용된다.
<중정을 구성하는 건축 기법>
- 라이트 코트(Light Court) 기법
- 실내 깊숙한 곳까지 자연광을 들이기 위해 천창(스카이라이트)과 결합하는 방식
- 도시형 주택, 협소 주택에서 활용됨
- 예시: 일본의 협소 주택(코트 하우스)
- 패시브 디자인 기법
- 햇빛, 바람을 고려한 설계를 통해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하는 기법
- 겨울에는 일조량을 확보하고, 여름에는 통풍을 유도하는 구조 적용
- 중정의 창 방향을 남향으로 배치하여 자연광을 최대한 활용
- 필로티(Pilotis) 구조 활용
- 1층 일부를 기둥만 남기고 개방하는 방식
- 중정을 필로티와 연결해 실내외 공간의 연속성을 강조할 때 사용
- 예시: 르 코르뷔지에의 근대 건축, 은 사실 한국 주택 빌라에 많음
- 수공간(연못, 빗물 정원) 활용
- 중정에 작은 연못이나 빗물 저장 시스템을 추가해 미적 효과와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고려
- 습도를 조절하고, 자연 냉각 효과를 제공
- 바닥 배수 시스템 적용
- 비가 와도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 트렌치 또는 점배수 방식(바닥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물을 흘려보내는 방식) 사용
- 중정이 실내와 연결될 경우, 방수 처리가 필수
<중정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재료>
1. 바닥 마감재
- 데크재(목재, 합성목재)
-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지만, 유지관리가 필요함
- 습기에 강한 방킬라이, 이페목 같은 하드우드를 사용하면 내구성이 증가
- 석재(대리석, 현무암, 화강석 등)
- 내구성이 뛰어나며, 모던한 분위기를 연출 가능
- 현무암은 물을 머금는 성질이 있어 습도 조절에도 도움
2. 벽 마감재
- 노출 콘크리트
- 심플하고 현대적인 느낌을 주며, 내구성이 뛰어남
-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음
- 적벽돌/구운 점토 타일
- 따뜻한 감성을 연출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도 자연스럽게 변색되어 멋스러움
- 목재 루버(방습 처리된 것 사용)
-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강조할 때 사용
3. 창호 및 지붕재
- 폴딩 도어/전면 유리창
- 실내와 중정의 개방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
- 폴리카보네이트 지붕
- 빗물과 직사광선을 조절하면서도 채광이 가능
4. 조경 및 가구
- 방부목 퍼걸러, 철제 아치
- 덩굴식물(등나무, 아이비) 등을 올려 자연스러운 그늘 형성
- 야외용 퍼니처(티크, 알루미늄, 합성 라탄 등)
- 내구성이 강하고, 비바람에 강한 소재 사용
- 조명(간접 조명, 태양광 조명)
- 벽면에 은은한 조명을 설치해 야간에도 중정의 분위기를 살림
중정, 이런 사람에게 추천한다
- 아름다움에는 응당 그만한 노력이 필요하다 믿는 사람
- 마당 있는 집을 원하지만 그래도 도심에 살아야 하는 사람
- 이웃집과 눈 마주칠까 테라스에도 못나가는 사람
중정, 이런 사람은 포기하자
- 아름다운 난초 위 작은 벌레를 본 순간 난초와 정떨어지는 사람
- 나 자신의 편리를 위해 아름다움 쯤은 기꺼이 포기하는 사람
- 습기나 곰팡이 발생을 우려하는 지역(고온다습 지역 등)에 거주하는 사람
- 가진 땅이 넓지 않은 사람
- 돈이 많지 않은 사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불피해 긴급모금 : 카카오 같이가치로 대신 기부하기 (0) | 2025.03.26 |
---|---|
전세사기 사례 및 예방법 (0) | 2025.03.25 |
편백/히노끼 욕조, 집 안에 작은 나만의 온천 만들기 (0) | 2025.03.19 |